I undertook the creation of the church’s website and the production of photographs and sketch videos with the hope that Seoul Manna Church’s healthy and genuine ministries would be transparently shared with both its members and the local community, and properly archived in the digital realm. Moreover, I wished for these stories of ministry to reach beyond our region and become more widely known.
Unlike many other church websites, one of the distinctive features here is a page called “Messenger (Ministry).” Inspired by the concept of a “messenger,” it represents someone who conveys God’s love and the Gospel through the church’s ministries.
The Messenger (Ministry) page serves as a space to capture and present the various moments of ministry at Seoul Manna Church. Most notably, our pastors personally take photographs and write sincere updates about ministry activities, which fosters trust between the church and its congregation, and deepens their mutual relationships. By consistently sharing the joys and gratitude, as well as the worries and challenges encountered in ministry, the Messenger page acts as a valuable platform where the church and its members can continue to grow and serve together.
Furthermore, through SEO settings, the Messenger page becomes a channel that extends the church’s ministries beyond its congregation to the local community and the broader public. In doing so, it supports Seoul Manna Church’s vision of sharing God’s love and service beyond the region and into the wider world, functioning as a digital avenue for ministry outreach.
Additionally, the Seoul Manna Church website is organized so that anyone can easily access photographs and videos documenting the diverse activities in worship, education, community service, and other areas. By visually conveying the process and narratives of each ministry, the church’s core values and vision are presented in a manner that feels both genuine and accessible.
교회의 웹사이트 제작과 사진 촬영, 스케치 영상들을 통해 서울만나교회의 건강하고 진정성 있는 사역들이 교인들과 이웃들에게 투명하게 비쳐지며, 디지털 공간에 아카이빙 되길 바랐고, 이후에는 이 사역의 이야기들이 지역을 넘어 더 널리 알려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여타 교회 홈페이지와 다른 구조가 있는데, 그 특징 중 하나는 메신저(사역)라는 페이지입니다. 메신저는 ‘전달자’라는 의미로, 교회의 사역들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과 복음을 전하는 전달자라는 뜻에서 이름을 짓게 되었습니다.
메신저(사역) 페이지는 서울만나교회의 다양한 사역의 순간들을 담고 나타내는 공간입니다. 무엇보다 목회자분들이 직접 사진을 촬영하고, 진솔한 글을 써서 전하는 사역의 소식들은 교회와 성도 간의 신뢰를 쌓고, 서로의 관계를 더욱 깊이 이어줍니다. 이는 사역 현장에서의 기쁨과 감사, 고민과 도전을 ‘메신저(사역) 페이지’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유함으로써, 교회와 성도가 함께 성장하고 동역(同役) 해 나가는 소중한 장의 역할을 합니다.
더 나아가 메신저 페이지는 SEO 설정을 통해 교회의 사역이 교인들에게만 머무르지 않고, 지역 사회와 외부로도 확장될 수 있는 창구가 됩니다. 이를 통해 서울만나교회가 지역을 넘어 더 넓은 세상 속에서 하나님의 사랑과 섬김을 전하고자 하는 비전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디지털 사역의 통로가 되고자 하는 것입니다. (서울만나교회의 웹사이트 분석 자료를 참조해보면, 지역에 한정되지 않고 더 넓은 세상과 연결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서울만나교회 웹사이트는 예배, 교육, 지역 봉사 등 각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활동들이 사진과 영상으로 기록되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사역의 과정과 이야기를 시각적으로도 함께 담아냄으로써 교회가 추구하는 가치와 비전을 보다 진정성 있게 전달되게 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습니다.
教会のウェブサイト制作と写真撮影、スケッチ映像を通じて、 ソウルマンナ教会の健康で誠実なミニストリーが 信徒や地域の方々にオープンに伝わり、 デジタル空間にアーカイブされることを願っていました。 さらに、この働きが地域を越えてより広く知られればという思いから、 今回の制作に至りました。
他の教会サイトとは異なる構成として、 その特徴の一つが「メッセンジャー(ミニストリー)」というページです。 “伝達者”を意味する「メッセンジャー」という名のとおり、 教会のミニストリーを通じて神様の愛と福音を 届けるという意味を込めて名付けました。
メッセンジャー(ミニストリー)ページは、 ソウルマンナ教会のさまざまな奉仕や活動の瞬間を紹介する場です。 特に、牧師の方々が直接撮影し、率直な言葉で綴る活動報告は、 教会と信徒の信頼関係を深め、互いをより身近に感じさせます。 これは現場での喜びや感謝、悩みや挑戦を メッセンジャーページを通じて絶えず共有することで、 教会と信徒がともに成長し、共に働いていく大切な場になるのです。
さらにメッセンジャーページは、 SEOの設定を通じて教会のミニストリーが信徒だけにとどまらず、 地域社会や外部へも広がる窓口となります。 こうしてソウルマンナ教会が地域を越え、 さらに多くの方々に神様の愛と奉仕の姿勢を伝え、 ビジョンを実現するためのデジタルな働きの通路をめざしています。
また、ソウルマンナ教会のウェブサイトでは、 礼拝・教育・地域奉仕など各分野の活動を写真や映像で記録し、 どなたでも簡単にアクセスできるよう構成しています。 活動の過程やストーリーを視覚的にも分かりやすく伝えることで、 教会が大切にしている価値とビジョンを より真摯に届ける意図が込められています。
Concept Planning
Photography
Videography(sketch)
Website Planning
Web Design
Web Development
3D Image - Jong Suk Kim
Seoul Manna Church’s website is designed to be clear and intuitive, ensuring that people of all ages can easily access and interact with the content. By using the main color, blue (#2754B1), only for key focal points, the brand identity stands out while the combination of white and off-white (#F9F9F9) backgrounds adds a sense of visual stability.
Notably, the site adopts a “card news” layout to divide sections, allowing users to grasp information at a glance. This approach not only simplifies the discovery and review of various ministries and worship announcements, but also—when coupled with ample spacing and legible text sizes—delivers a comfortable user experience for every age group.
Additionally, the site employs Noto Sans KR for Korean text and Inter for English, harmoniously blending the inherent softness of Korean typography with a clean, modern look for English. This thoughtful usage of fonts and color not only underscores the church’s message but also lends an air of refinement to the overall web design. Ultimately, by incorporating these streamlined design elements, Seoul Manna Church’s website aspires to transcend age and other boundaries, conveying the church’s ministries and God’s love with greater clarity.
서울만나교회 웹사이트는 다양한 연령층의 성도분들이 쉽게 접근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명확하고 직관적인 디자인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메인 컬러인 블루(#2754B1)를 포인트에만 사용하여 교회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동시에, 화이트 및 미색(#F9F9F9) 배경과의 조화를 통해 시각적 안정감을 부여합니다.
특히 페이지 구성을 ‘카드 뉴스’ 형식으로 섹션을 구분함으로써, 한눈에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는 다양한 사역이나 예배 소식을 쉽게 탐색,확인할 수 있게 해줄 뿐 아니라, 가독성 높은 글자 크기와 충분한 여백 배치가 어우러져 연령대를 불문하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또한 한글과 영문의 폰트를 각각 Noto Sans KR과 Inter로 구분 적용하여, 한글 특유의 부드러운 가독성과 영문의 깔끔한 모던함을 조화롭게 살려냈습니다. 이러한 폰트 운용과 색상 사용은 교회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부각시키면서도, 전체적인 웹사이트 분위기에 품격을 더해줍니다. 결국 서울만나교회의 웹사이트는 단순함 속에 담긴 정제된 디자인 요소들로, 세대와 경계를 넘어 하나님의 사랑과 교회 사역을 더욱 또렷이 전하고자 하는 의도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ソウルマンナ教会のウェブサイトは、あらゆる年代の方が簡単にアクセスし、情報を得られるよう、明快で直感的なデザインを追求しています。メインカラーであるブルー(#2754B1)を必要最小限のポイントにとどめ、白やオフホワイト(#F9F9F9)を背景に組み合わせることで、ブランドの個性を際立たせつつ、視覚的な安定感をもたらしています。
特に「カードニュース」形式でセクションを区分することにより、一目で必要な情報を把握できるよう工夫されています。これにより、多様な奉仕活動や礼拝のお知らせなどを簡単に探せるだけでなく、充分な余白と読みやすい文字サイズが組み合わさって、どの年代の方でも快適に利用できるユーザー体験を提供しています。
また、韓国語にはNoto Sans KRを、英語にはInterを使用し、それぞれの言語が持つ特有の印象を活かしながら、モダンで洗練された統一感を演出しています。こうしたフォントと色の組み合わせは、教会が伝えたいメッセージを効果的に際立たせると同時に、全体のデザインに上質な雰囲気を与えます。結果として、ソウルマンナ教会のウェブサイトは、シンプルでありながら洗練されたデザイン要素を通じて、世代や境界を越えた神様の愛と教会の働きをより鮮明に伝えようとする意図を体現しているのです。